부신피질기능항진증은 개와 고양이 등 작은 동물에서 나타나는 호르몬 질환입니다. 쿠싱증후군 강아지 질병이라고도 말하죠. 평균 발병연령은 7~12년 정도입니다.
아쉽게도 이 병은 완치되지 않는 종양성질병입니다. 다양한 합병증과 임상증상 등을 동반하기 때문에 증상을 완화하거나, 합병증을 최소화는 치료를 진행합니다.
이 글에서 여러분이 찾으시는 도움되는 정보를 찾을 수 있길 바랍니다.
목차
1. 쿠싱증후군 ( 부신피질기능한진증 ) 이란?
콩팥 옆에 있는 부신은 바깥층의 피질과 안쪽층의 수질로 나뉩니다. 피질은 30여가지 호르몬을 생산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장기죠. 쿠싱증후군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은 부신에서 코르티솔이 지나치게 많이 분비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우리 아이들의 면역체계에 이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피부, 췌장, 간, 심장, 방광 등에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쿠싱증후군 강아지 위험 신호 8가지
아래 증상들이 있다면 가까운 동물 병원에서 즉시 검진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비만, 복무팽만
- 다음, 다뇨, 다식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을 많이 보고, 많이 먹는 증상)
- 헐떡거림
- 피부 트러블 (전신성 대칭성 탈모, 모낭충증, 말라세지아, 얇아진 피부)
- 무기력, 근육의 감소
- 발작 등의 행동변화
- 무발정 및 생식기 위축
- 신장이나 방광 등에 생기는 결석, 요도감염
특히 7세 이상의 고령견에게 많이 발생하므로 집에서 키우는 반려동물이 나이가 많다면 위 증상들을 평소 자세히 관찰하여야 합니다. 주인의 눈썰미가 우리 아이의 건강 예방의 핵심입니다.
또, 위 내용중 2번을 유심히 보시길 바랍니다. 평소보다 물을 많이 마시면서 그로 인해 소변 횟수나 양이 증가한다면 위험 신호의 초기일 수 있습니다.
3. 쿠싱증후군 강아지 위혐 견종은?
1. 푸들
2. 보스턴테리어
3. 닥스훈트
4. 포메라니안
4. 진단법 및 치료법
혈액검사, 방사선 촬영검사를 통해 결석이나 칼슘침착, 간의 비대 등을 확인합니다. 초음파검사는 부신의 크기, 간, 담낭 내 찌꺼기까지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당뇨, 자궁축농증, 신부전, 감상선 진환 등 다른 질병이 있다면 위음성 또는 위양성으로 나탈 수 있어 부신피질기능항진증 검사를 하지 않습니다.
치료법은 약물로 우리 아이들의 코르티솔농도를 정상수치를 만들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적절한 약물용량이 중요하며, 일부 부작용으로 구토, 설사, 식욕저하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부신피질기능저하증(에디슨병)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만약, 부신에 종양이 있는 경우에는 종양 제거 수술을 진행합니다.
여기까지 쿠싱증후군 강아지 증상 및 원인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서도 쿠싱증후군 설명을 자세히 적어놓았으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Recent Comments